맨위로가기

공연 예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연 예술은 관객 앞에서 예술가가 연기를 펼치는 다양한 형태의 예술을 포괄한다. 여기에는 배우, 댄서, 음악가 등이 참여하며, 춤, 음악, 연극, 뮤지컬, 마술, 행위 예술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공연 예술은 멜라네시아 춤과 같은 원시 예술 형태에서 시작하여 그리스, 로마 시대를 거쳐 서양, 아프리카, 동양 등 전 세계적으로 발전해 왔다.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연극, 중세 시대 종교극, 르네상스 시대 발레와 코메디아 델라르테, 근대 오페라와 발레, 현대의 영화와 뮤지컬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아프리카는 의례, 이야기, 음악을 중심으로 공연 예술이 발전했으며, 동양에서는 서아시아의 타지야, 인도의 바라타나티얌, 중국의 경극, 일본의 노극과 가부키 등 각 지역의 고유한 전통이 형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락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오락 - 시즌 티켓
    시즌 티켓은 특정 기간 동안 여러 행사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티켓으로, 스포츠, 공연 예술, 대중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개별 티켓 구매보다 할인된 가격과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 문화에 관한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문화에 관한 - 문학
    문학은 언어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추구하며 다양한 형식과 사조를 보이고, 저작권 및 감상과 비평을 통해 독자들과 소통하는 예술 분야이다.
  • 공연 예술 - 음악
    음악은 인간이 소리를 재료로 박자, 선율, 화성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시간 예술로, 다양한 장르로 분류되며 작곡, 연주, 감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예술, 오락,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공연 예술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공연 예술
공연 예술 지도
정의 및 범위
정의라이브 공연을 포함하는 예술 형태
포함되는 예술 형태곡예
발레
서커스 기술
광대

체조
마술 (착시)
마임
음악
오페라
프로 레슬링
인형극
연설
스탠드업 코미디
거리 공연
연극
복화술
관련 분야
주요 분야무대 미술
연기
음악
관련 이론공연학
미학
기호학
인류학
역사
기원고대 종교 의식 및 축제
발전고대 그리스 극장
로마 시대 검투사 경기
중세 시대 극단
르네상스 시대 극장
현대 연극 및 공연 예술
사회적 영향
역할사회적 의식 표현
문화적 정체성 형성
정치적 메시지 전달
오락 제공
교육적 기능 수행
사회적 비판공연 예술은 사회적 불평등, 권력 관계, 억압을 반영하고 비판할 수 있음
소피 앤 올리버의 "외상, 신체, 그리고 공연 예술: 보는 것의 구체화된 윤리를 향하여" 연구 참조
추가 정보
참고자료옥스포드 사전 공연 예술 정의

2. 공연자의 정의와 유형

관객 앞에서 공연 예술에 참여하는 예술가를 공연자라고 한다. 여기에는 배우, 희극 배우, 댄서, 마술사, 서커스 예술가, 음악가, 가수 등이 포함된다. 공연자들은 의상과 무대 분장, 무대 조명, 음향 등 외모를 조정하는 경우가 많다.

공연을 관객에게 선보이는 장소인 극장 사진.
McKenna Theatre Stage

2. 1. 공연 예술의 다양한 유형

공연 예술에는 댄스, 음악, 오페라, 연극뮤지컬, 마술, 일루전, 무언극, 스포큰 워드, 인형극, 서커스 예술, 스탠드업 코미디, 즉흥극, 프로레슬링, 행위 예술 등이 포함된다.[24]

소피아(불가리아)의 두 명의 여성 무용수


예술가가 청중에게 자신의 작품을 라이브로 공연하는 특수한 형태의 미술을 행위 예술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공연 예술에는 소품 제작과 같은 조형 예술도 포함될 수 있다. 근대 무용 시대에는 춤을 조형 예술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4]

공연 예술은 작사, 안무, 무대 기술과 같은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지원을 받는다. 공연자는 종종 의상분장, 조명, 음향 등으로 외모를 바꾼다.

주요 공연 예술은 다음과 같다.

3. 공연 예술의 역사

얀 미엘이 그린 '마차 위의 코메디아 델라르테 배우들'(1640)


바실리 니진스키가 ''L'après-midi d'un faune''(1912)에서 파우누스 역을 추고 있다.


르 쇼드퐁에서의 현대 거리극 공연


서양 공연 예술은 기원전 6세기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 소포클레스에우리피데스 같은 비극 시인들은 춤을 포함한 희곡을 썼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코미디가 널리 공연되었다. 그러나 6세기경 암흑기가 시작되면서 서양 공연 예술은 대부분 사라졌다. 9세기부터 14세기까지는 교회가 주관하는 종교적인 역사 재현극과 도덕극이 주를 이루었다.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공연 예술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도메니코 다 피아첸차는 '댄자'(danza, 춤) 대신 '발로'(ballo)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 이는 '발레'의 기원이 되었다. 최초의 발레는 발레 코미크 드 라 렌(1581)으로 여겨진다. 16세기 중반 코메디아 델라르테는 즉흥극을 도입하여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마스크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1597년 최초의 오페라인 다프네(Dafne)가 공연되었고, 17세기에는 귀족들의 오락거리로 자리 잡았다.

17세기 이탈리아에서 프로시니엄 아치가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극장 형태를 확립했다. 영국에서는 청교도 혁명으로 공연 예술이 중단되었다가 1660년 이후 여성 배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17세기 후반 공식적인 무용 교육을 도입했다. 같은 시기 미국 식민지에서 최초의 연극이 공연되었다. 18세기에는 오페라 부파가 등장하여 오페라가 대중화되었다.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과 ''돈 조반니''는 18세기 후반 오페라의 중요한 작품이다.

19세기 초 베토벤낭만주의그랜드 오페라를 거쳐 주세페 베르디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극으로 이어졌다. 19세기에는 극장에 가스등이 도입되고, 버레스크, 흑인 흉내내기 춤 등 다양한 공연이 나타났다. 모던 댄스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시작되었으며,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러시아 발레단은 발레에 혁명을 일으켰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시스템"은 20세기 초 연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상주의와 현대적인 사실주의도 이 시기에 무대에 도입되었다. 19세기 후반 토마스 에디슨이 영화를 발명하고, 20세기 초 할리우드가 성장하면서 영화는 주요 공연 매체가 되었다. 리듬 앤 블루스는 20세기 초 국제적인 대중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 장 로젠탈은 현대 무대 조명을 소개하여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미국에서 인기를 얻게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권에서는 발레오페라가 부흥했으며, 1970년대1980년대에는 포스트모더니즘이 공연 예술을 지배했다.

아프리카 원주민 공연 전통은 의례, 이야기 전달, 움직임, 음악에 뿌리를 두고 공동체적 성격을 띠었다. 이야기꾼과 관객은 호응을 통해 상호 작용했다. 북아프리카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이집트오시리스 의식극이 기록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연극 행사이다. 람세스 2세의 람세움 파피루스(Dramatic Ramesseum Papyrus)는 세드제 기간 중 공연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서아프리카의 그리오는 구전 역사가로, 코라와 같은 악기를 연주하며 부족의 족보와 역사를 표현했다.

동양 공연 예술은 각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여 다양하게 발전했다. 인도의 민속극과 연극은 베다 시대의 종교 의례에서 기원했으며, 바라타 무니의 ''바라타의 나티야 샤스트라''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인도 연극에 큰 영향을 미쳤고, 칼리다사바바부티는 대표적인 극작가이다.

중국에서는 상나라 시대부터 연극 오락이 존재했으며, 당나라 시대 현종 황제는 배원이라는 연기 학교를 설립했다. 한나라 시대에는 그림자극이 등장했고, 송나라원나라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지역극으로 발전했다.

일본에서는 14세기 간아미와 세아미 모토키요가 노극을 발전시켰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에는 분라쿠가부키가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 치카마쓰 몬자에몬은 분라쿠를 예술적 경지로 끌어올렸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인도 서사시의 영향을 받은 연극 전통이 이어졌다. 태국에서는 ''라마키엔'' 공연이, 캄보디아인도네시아에서는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를 소재로 한 공연이 이루어졌다. 필리핀에서는 이봉 아다르나, 플로란테 아 라우라, 호세 리살의 소설 등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연극으로 공연되었다.

서아시아에서는 이슬람 황금기에 인형극과 타지야가 인기 있었다. 타지야는 시아파 이슬람 연극으로, 하산 이븐 알리와 후세인 이븐 알리의 순교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란에는 '낙갈리'(Naghali), 타지예, '루호지'(Ru-Howzi), 시아바지, '파르데카니'(Parde-Khani), 마레케기리(Mareke giri) 등 다양한 연극 행사가 있다.

3. 1. 서양 공연 예술의 역사

서양 공연 예술은 기원전 6세기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 소포클레스와 같은 비극 시인들은 에우리피데스처럼 춤을 포함한 희곡을 썼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코미디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6세기경 암흑기가 시작되면서 서양 공연 예술은 대부분 사라졌다.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서구의 공연 예술은 교회가 성일과 기타 중요한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조직한 종교적인 역사 재현극과 도덕극으로 제한되었다.

3. 1. 1. 르네상스 시대

15세기 공연 예술은 다른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르네상스와 함께 부흥기를 맞았다. 춤이 포함된 몇몇 연극들이 공연되었으며, 도메니코 다 피아첸차는 그의 발레티(baletti) 또는 발리(balli)에 대해 '댄자'(danza, 춤) 대신 '발로'(ballo)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De Arte Saltandi et Choreas Ducendiit에서). 이 용어는 결국 '발레'가 되었다. 최초의 발레는 발타사르 드 보주이외의 발레 코미크 드 라 렌(1581)으로 여겨진다.

16세기 중반까지 코메디아 델라르테는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고, 즉흥극의 사용을 도입했다. 이 시기에는 음악, 춤, 정교한 의상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자베스 시대의 마스크와 영국의 전문 극단도 등장했다. 16세기 후반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들은 이러한 새로운 전문 공연의 계층에서 발전했다.

1597년 최초의 오페라인 다프네(Dafne)가 공연되었고, 17세기 내내 오페라는 유럽 대부분 지역의 귀족들, 그리고 결국 유럽 전역의 도시에 사는 많은 사람들의 최고의 오락거리가 되었다.

3. 1. 2. 근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도입된 프로시니엄 아치는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전통적인 극장 형태를 확립했다. 한편, 영국에서는 청교도들이 연극을 금지하여 1660년까지 공연 예술이 중단되었다. 그 후, 프랑스와 영국의 연극 모두에서 여성 배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17세기 후반에 공식적인 무용 교육을 도입했다.

같은 시기에 최초의 연극이 미국 식민지에서 공연되었다.

18세기에는 대중적인 오페라 부파의 도입으로 오페라가 대중에게 접근 가능한 공연 형태로 자리 잡았다.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과 ''돈 조반니''는 18세기 후반 오페라의 중요한 이정표이다.

19세기 초 베토벤낭만주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고, 먼저 그랜드 오페라의 화려한 공연으로 이어졌으며, 그 후에는 주세페 베르디의 음악극과 리하르트 바그너 오페라의 ''게잠트쿤스트베르크''(총체 예술 작품)으로 이어져 20세기 음악으로 직접 연결된다.

19세기는 모든 계층의 공연 예술이 성장한 시기였으며, 극장에 가스등을 도입하는 등의 기술적 발전, 버레스크, 흑인 흉내내기 춤, 그리고 다양한 극장이 나타났다. 발레에서는 이전에 남성이 지배하던 예술 분야에서 여성들이 큰 발전을 이루었다.

모던 댄스는 전통 발레의 제약에 대한 반응으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러시아 발레단(1909~1929)의 등장은 서구 전역에서 발레와 공연 예술 전반에 혁명을 일으켰는데, 특히 디아길레프가 안무가, 무용수, 무대 디자이너/예술가, 작곡가 및 음악가를 한데 모아 발레를 활성화하고 혁신한 협업에 대한 강조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었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시스템"은 20세기 초 연기에 혁명을 일으켰으며, 오늘날까지 무대와 스크린 배우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상주의와 현대적인 사실주의 모두 이 시기에 무대에 도입되었다.

19세기 후반 토마스 에디슨이 영화를 발명하고 20세기 초 할리우드의 영화 산업이 성장하면서 영화는 20세기와 21세기 내내 주요 공연 매체가 되었다.

흑인 미국 문화 현상인 리듬 앤 블루스는 20세기 초에 두각을 나타내 국제적으로 다양한 후기 대중 음악 스타일들에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 장 로젠탈은 현대 무대 조명이 될 것을 소개하여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미국에서 하나의 현상이 되면서 무대의 본질을 바꾸었다.

3. 1. 3. 19세기와 20세기 초

프로시니엄 아치는 17세기 이탈리아에서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전통적인 극장 형태를 확립했다. 한편, 영국에서는 청교도들이 연극을 금지하여 1660년까지 공연 예술이 중단되었다. 그 후, 프랑스와 영국의 연극 모두에서 여성 배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17세기 후반에 공식적인 무용 교육을 도입했다.

같은 시기에 최초의 연극이 미국 식민지에서 공연되었다.

18세기에는 대중적인 오페라 부파의 도입으로 오페라가 대중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과 ''돈 조반니''는 18세기 후반 오페라의 중요한 이정표이다.

19세기 초 베토벤낭만주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고, 먼저 그랜드 오페라의 화려한 공연으로 이어졌으며, 그 후에는 주세페 베르디의 음악극과 리하르트 바그너 오페라의 ''게잠트쿤스트베르크''(총체 예술 작품)으로 이어져 20세기 음악으로 직접 연결된다.

19세기는 모든 계층의 공연 예술이 성장한 시기였으며, 극장에 가스등을 도입하는 등의 기술적 발전, 버레스크, 흑인 흉내내기 춤, 그리고 다양한 극장이 나타났다. 발레에서는 이전에 남성이 지배하던 예술 분야에서 여성들이 큰 발전을 이루었다.

모던 댄스는 전통 발레의 제약에 대한 반응으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러시아 발레단(1909~1929)의 등장은 서구 전역에서 발레와 공연 예술 전반에 혁명을 일으켰는데, 특히 디아길레프가 안무가, 무용수, 무대 디자이너/예술가, 작곡가 및 음악가를 한데 모아 발레를 활성화하고 혁신한 협업에 대한 강조를 통해 이루어졌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시스템"은 20세기 초 연기에 혁명을 일으켰으며, 오늘날까지 무대와 스크린 배우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상주의와 현대적인 사실주의 모두 이 시기에 무대에 도입되었다.

19세기 후반 토마스 에디슨이 영화를 발명하고 20세기 초 할리우드의 영화 산업이 성장하면서 영화는 20세기와 21세기 내내 주요 공연 매체가 되었다.

흑인 미국 문화 현상인 리듬 앤 블루스는 20세기 초에 두각을 나타내 국제적으로 다양한 후기 대중 음악 스타일들에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 장 로젠탈은 현대 무대 조명이 될 것을 소개하여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미국에서 하나의 현상이 되면서 무대의 본질을 바꾸었다.

3. 1.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권에서는 발레오페라의 부흥이 공연 예술의 특징으로 나타났다.[7]

1970년대1980년대에는 포스트모더니즘이 공연 예술을 지배했다.[7]

3. 2. 아프리카 공연 예술의 역사

아프리카 원주민 공연 전통은 의례, 이야기 전달, 움직임,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다.[8] 공연은 공동체적이었으며, 이야기꾼과 관객이 호응에 참여하고 상호 작용했다. 호응은 보컬리스트가 한 구절을 부르면 다른 공연자나 관객이 새로운 구절로 되받아 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3. 2. 1. 북아프리카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남아있는 연극 행사는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이집트의 의식극이다. 신 오시리스의 이야기는 이집트 문명 전역에서 매년 축제 기간 동안 공연되었으며, 이는 연극과 종교 사이의 오랜 관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다. 가장 오래된 그림이 있는 파피루스로 알려진 람세스 2세의 람세움 파피루스(Dramatic Ramesseum Papyrus)는 세드제 기간 중 공연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으며, 서구 학자들이 종종 고대 그리스에 기인한다고 여기는 연극 전통의 탄생 증거로 사용되어 왔다.[10]

3. 2. 2. 서아프리카

그리오는 서아프리카의 구전 역사가로, 이야기, 시, 음악을 사용하여 자신이 대표하는 부족의 족보와 역사적 이야기를 표현하며, 종종 코라와 같은 악기를 연주한다.[11] 이 고대 직업은 공동체 지도자의 위치에서 유지되고 있다.

3. 3. 동양 공연 예술의 역사

동양 공연 예술은 각 지역의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인도의 민속극과 연극은 베다 시대의 종교 의례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바라타 무니의 ''바라타의 나티야 샤스트라''는 인도 공연 예술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16]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인도 연극에 큰 영향을 미친 서사시이며, 칼리다사바바부티는 고대 인도의 대표적인 극작가로 꼽힌다.

중국에서는 상나라 시대부터 연극 오락이 존재했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현종 황제가 배원이라는 연기 학교를 설립하여 연극 발전에 기여했다.[17] 한나라 시대에는 그림자극이 등장했으며, 송나라원나라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지역극으로 발전했다.

일본에서는 14세기 간아미와 그의 아들 세아미 모토키요가 노극을 발전시켰다.[18]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에는 분라쿠가부키가 등장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특히 치카마쓰 몬자에몬은 분라쿠를 예술적 경지로 끌어올린 인물로 평가받는다.

동남아시아에서도 인도 서사시의 영향을 받은 연극 전통이 이어져 왔다. 태국에서는 ''라마키엔'' 공연이, 캄보디아인도네시아에서는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를 소재로 한 공연이 이루어졌다.[1] 필리핀에서는 이봉 아다르나, 플로란테 아 라우라, 호세 리살의 소설 등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연극으로 공연되었다.

3. 3. 1. 서아시아

이슬람 황금기에 서아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공연 예술 형태는 인형극(손 인형극, 그림자극, 마리오네트 공연 포함)과 타지야로 알려진 실제 열정극이었다. 타지야는 배우들이 이슬람 역사의 에피소드를 재현하는 공연이었다. 특히, 시아파 이슬람 연극은 알리의 아들인 하산 이븐 알리와 후세인 이븐 알리의 순교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카르발라 전투와 그 이전 및 이후의 사건에 대한 열정극을 가리킨다.[12] 루이스 펠리 경은 타지야에 관한 그의 책 서문에서 "만약 연극의 성공이 그것을 만든 사람들이나 그것을 보는 관객들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측정된다면, 무슬림 세계에서 하산과 후세인의 비극만큼 성공한 연극은 없었다"라고 말했다.[12] 피터 첼코우스키는 그의 책 '타지야, 이란의 의례와 드라마'의 서두에서 같은 말을 선택했다.[13] 세속적인 실제 연극은 '악흐라자(akhraja)'로 알려져 있으며, 중세 아다브 문학에 기록되어 있지만, 인형극과 타지야 연극보다 덜 흔했다.[14]

샤나메의 이란 나칼(나레이터) 발리올라 토라비


이란에는 '낙갈리'(Naghali 또는 Naqqāli, 이야기 전달), 타지예, '루호지'(Ru-Howzi), 시아바지, '파르데카니'(Parde-Khani), 마레케기리(Mareke giri) 등 다른 형태의 연극 행사가 있다. 20세기 이전에는 이야기 전달이 가장 인정받는 오락 형태였지만, 오늘날에도 일부 형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낙갈리'(Naghali)라는 한 형태는 전통적으로 커피숍에서 공연되었는데, 이야기꾼인 '낙갈(낙칼, Naghals/Naqqāls)'들은 한 번에 이야기의 일부만 낭송하여 단골 고객을 유지했다. 이 이야기들은 역사적 또는 종교적 중요성을 지닌 사건을 바탕으로 했으며, 많은 부분이 샤나메의 시를 참조했다. 이 이야기들은 종종 청중의 분위기나 기분에 맞춰 바뀌었다.[15]

3. 3. 2. 인도

바라타나티얌, 타밀나두에서 유래한 인도 고전 무용


고티쿠아 민속 무용은 사리를 입은 남학생 그룹이 공연하는 잘 알려진 공연 중 하나이다.


인도의 민속극과 연극은 베다 시대 사람들의 종교적 의례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기원전 2천년경). 이 시기 민속극은 무용, 음식, 의례, 그리고 일상생활의 사건 묘사가 혼합된 형태였다. 많은 역사가들은 인도 아리아인 부족 사이에 의례가 만연했으며, 일부 부족원들은 야생 동물인 척하고 다른 일부는 사냥꾼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바라타 무니(기원전 5세기~2세기 활동)는 인도 공연 예술에 대한 이론적 논문인 ''바라타의 나티야 샤스트라''를 저술한 고대 인도 작가였다. 이 작품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비교되기도 한다. 바라타는 인도 연극 예술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나티야 샤스트라''는 희곡의 기법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려는 최초의 시도로 보인다. ''나티야 샤스트라''는 희곡에서 무엇을 묘사해야 하는지뿐만 아니라 어떻게 묘사해야 하는지도 알려준다. 바라타 무니는 희곡이 인간과 그들의 행위(''로카-브리티'')의 모방이며, 무대에서 인간과 그들의 행위는 존중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산스크리트어 희곡은 ''루파카''라는 용어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묘사를 의미한다.[16]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인도에서 시작된 최초의 인정받는 희곡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서사시들은 초기 인도 극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오늘날에도 영감을 주고 있다. 기원전 2세기의 바사와 같은 인도 극작가들은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서 크게 영감을 받은 희곡을 썼다.

기원전 1세기의 칼리다사는 고대 인도에서 가장 위대한 극작가로 여겨진다. 칼리다사가 쓴 세 편의 유명한 낭만극은 ''말라비카그니미트람''(''말라비카와 아그니미트라''), ''빅라마우르바시얌''(''빅라마와 우르바시에 관한''), ''아비즈냐나사쿤탈라''(''사쿤탈라의 인식'')이다. 이 중 마지막 작품은 ''마하바라타''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가장 유명하다.

바바부티(7세기경)는 ''말라티-마다바'', ''마하비라차리타'', ''우타르 라마차리타''의 세 편의 희곡을 썼다고 한다. 이 세 작품 중 마지막 두 작품은 ''라마야나''의 전체 서사시를 다루고 있다. 강력한 인도 황제 하르샤(606~648)는 희극 ''라트나발리'', ''프리야다르시카'', 불교 희곡 ''나가난다''를 썼다고 알려져 있다.

인도 남부에는 많은 공연 예술 형태가 있었는데, 케랄라 주는 쿠디야탐, 낭기야르쿠투, 카타칼리, 차키야르 쿠투, 티라야탐과 같은 다양한 예술 형태가 있는 주이다.

3. 3. 3. 중국

상나라 시대인 기원전 1500년경부터 중국에는 연극 오락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음악, 광대극, 곡예와 관련이 있었다.[17]

당나라는 "천 가지 오락의 시대"로 불리기도 한다. 이 시대에 현종 황제는 주로 음악적인 형태의 연극을 제작하기 위해 배원의 아이들이라는 연기 학교를 설립했다.[17]

한나라 시대에는 그림자극이 중국에서 인정받는 연극 형태로 처음 등장했다. 그림자극에는 광동 남부식과 북경 북부식의 두 가지 형태가 있었다. 두 가지 스타일은 인형을 만드는 방법과 인형에 막대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구분되었다. 두 스타일 모두 일반적으로 위대한 모험과 환상을 묘사하는 연극을 공연했으며, 정치적 선전에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광동 그림자 인형은 더 컸으며, 두꺼운 가죽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그림자를 만들었다. 검은 얼굴은 정직을, 붉은 얼굴은 용기를 나타내는 등 상징적인 색상이 널리 사용되었다. 광동 인형을 조종하는 막대는 인형의 머리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관객에게 보이지 않았다. 북경 인형은 더 섬세하고 작았으며, 얇고 반투명한 가죽으로 만들어졌다. 선명한 색으로 칠해 다채로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움직임을 조종하는 가는 막대는 인형 목의 가죽 칼라에 부착되었다. 막대는 인형의 몸과 평행하게 달리다가 90도 각도로 돌아 목에 연결되었다. 그림자가 드리울 때 이 막대는 보였지만 인형 그림자 바깥에 있어 인형의 모양을 방해하지 않았다. 목에 부착된 막대는 하나의 몸에 여러 개의 머리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했다. 머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무슬린 책이나 천으로 안감을 댄 상자에 보관했다. 머리는 인형이 밤에 살아날 것이라는 미신 때문에 항상 밤에 제거되었다. 일부 인형극 배우들은 머리를 한 권의 책에, 몸체를 다른 책에 보관하기도 했다. 그림자극은 11세기에 가장 높은 예술적 발전을 이루었다고 한다.

송나라 시대에는 곡예와 음악이 포함된 많은 인기 연극이 있었다. 이것들은 원나라에서 4막 또는 5막 구조를 갖춘 더 정교한 형태로 발전했다. 원나라 연극은 중국 전역으로 퍼져 여러 지역 형태로 다양화되었으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인기 있는 경극이다.

3. 3. 4. 일본

가부키 공연


가고시마 공연


14세기 일본에서는 소규모 배우 집단들이 짧은 희극을 공연했다. 이들 중 한 집단의 감독인 간아미(1333~1384)에게는 뛰어난 아역 배우였던 아들 세아미 모토키요(1363~1443)가 있었다. 간아미의 집단이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1358~1408)를 위해 공연했을 때, 요시미쓰는 세아미에게 예술을 위한 궁정 교육을 받도록 했다.[18] 세아미는 아버지를 계승한 후, 자신의 스타일을 노극으로 발전시켰다. 노극은 판토마임과 음성 연기의 조화로, 일본의 정교한 연극 형식 중 하나가 되었다.[19]

오랜 내전과 혼란의 시대를 거친 일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1600~1668) 덕분에 통일되고 평화를 맞이했다. 그러나 기독교 선교사들의 전도로 국내 기독교인 수가 증가하는 것을 우려하여, 일본과 유럽 및 중국 간의 접촉을 단절하고 기독교를 금지했다. 평화가 찾아오자 문화적 영향이 번성하고 성장하는 상인 계급은 그들만의 오락을 요구했다. 최초로 번성한 연극 형식은 닌교 조루리(일반적으로 분라쿠로 알려짐)였다. 치카마쓰 몬자에몬(1653~1725)은 닌교 조루리를 진정한 예술 형식으로 만들었다. 닌교 조루리는 인형을 사용하는 세련된 연극 형식으로, 오늘날 인간의 약 1/3 크기의 인형을 사용한다. 숙련된 인형 조종사는 머리와 오른팔을 조작하고 공연 중에 얼굴을 보여줄 수 있다. 덜 중요한 사지를 조종하는 다른 인형 조종사들은 검은 옷으로 얼굴을 가린다. 대사는 한 사람이 다양한 음색과 말투를 사용하여 다른 인형들을 연기한다. 치카마쓰는 생애 동안 수천 편의 희곡을 썼으며, 그 대부분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가부키는 분라쿠 이후 곧 시작되었는데, 전설에 따르면 16세기 말에 살았던 오쿠니라는 여배우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한다. 가부키의 대부분의 소재는 노극과 분라쿠에서 나왔으며, 불규칙적인 춤과 같은 움직임도 분라쿠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가부키는 노극보다 덜 형식적이고 대중적이며, 일본 대중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배우들은 춤, 노래, 판토마임, 곡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훈련을 받는다. 가부키는 처음에는 어린 소녀들에 의해, 그 다음에는 어린 소년들에 의해 공연되었고, 16세기 말에는 모든 남성들로 구성된 가부키 단체가 생겨났다. 무대에서 여성을 연기하는 남성들은 미묘한 움직임과 제스처로 여성의 본질을 이끌어내도록 훈련을 받았다.

  • 신가쿠(神楽)
  • 가가쿠(雅楽)
  • 마가쿠(舞楽)
  • 노(能)
  • 쿄겐(狂言)
  • 가부키(歌舞伎)
  • 인형극(人形劇)
  • * 인형정루리분라쿠(분라쿠(文楽))
  • 일본무용(日本舞踊)
  • 구미오도리(組踊)
  • 민요(民謡)
  • 다이슈게키(大衆演劇)

3. 3. 5. 동남아시아

하누만이 탄 전차, 방콕 왓 프라깨우의 라마키엔 장면


태국에서는 중세 시대부터 인도 서사시를 바탕으로 한 연극을 공연하는 전통이 있었다. 특히 태국의 국민 서사시인 ''라마키엔''(인도의 ''라마야나''의 한 버전)의 연극 버전은 오늘날에도 태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캄보디아에서는 6세기 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비문에서 현지 사원에서의 무용수와 종교극을 위한 인형극 사용의 증거를 보여준다. 고대 수도 앙코르 와트에서는 인도 서사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의 이야기가 사원과 궁전의 벽에 새겨져 있다.[1] 보로부두르(인도네시아)에서도 비슷한 부조가 발견된다.[1]

필리핀에서는 16세기 작품으로 원제가 ''"Korido at Buhay na Pinagdaanan ng Tatlong Prinsipeng Magkakapatid na anak nina Haring Fernando at Reyna Valeriana sa Kahariang Berbania"''(Corrido and Life Lived by the Three Princes, children of King Fernando and Queen Valeriana in the Kingdom of Berbania영어)인 유명한 서사시 이봉 아다르나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호세 데 라 크루스에 의해 쓰였다. 연극 공연 외에도 여러 영화 제작사/텔레비전 제작사에서 다양한 영화를 제작했다. 최초로 제작된 "앙 이봉 아다르나" 영화는 필리핀 역사상 최대 영화 제작사인 LVN 픽처스에서 제작되었다.[2]

플로란테 아 라우라는 전체 제목이 ''"Pinagdaanang Buhay ni Florante at ni Laura sa Kahariang Albanya"''(The History of Florante and Laura in the Kingdom of Albania영어)인 12음절 4행시로 이루어진 "아윗" 혹은 시로, 프란시스코 발라가타스가 1838년 투옥 중에 그의 연인 마리아 아순시온 리베라(별명 "M.A.R.", "셀리아"로 언급됨)를 위해 썼다. 이 시에는 리베라를 위해 특별히 헌정된 "카이 셀리아"(For Celia영어)라는 제목의 특별한 부분이 있다.[3]

필리핀의 국민 영웅이자 소설가이기도 한 호세 리살은 필리핀에서 유명한 두 편의 시, 스페인 가톨릭 수도사들과 지배 정부의 불평등을 묘사한 ''노리 메 탕헤레'' (Noli Me Tángerela)(1887)와 ''엘 필리부스테리스모''(El filibusterismoes)(1891)를 창작했다. 전자는 "나를 건드리지 마라"라는 뜻의 라틴어이며, 후자는 필리부스테리즘, 파괴자 또는 파괴를 의미하며 로신 영어 번역에서와 같이 탐욕의 지배라는 대안적인 영어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소설의 어두운 주제는 이전 소설의 희망적이고 낭만적인 분위기와 극적으로 다르며, 이전에 국가 시스템 개혁을 시도했지만 스페인 사람들의 필리핀인에 대한 부패한 태도로 인해 효과가 없고 불가능해 보이자 이바라가 폭력적인 수단을 통해 국가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데로 이어졌음을 나타낸다. 이 소설들은 스페인 제국에 의한 필리핀 식민지화 기간 동안 쓰여졌다.[4]

이러한 모든 문학 작품들은 필리핀의 중학교 K-12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봉 아다르나는 7학년 교육 과정, 플로란테 아 라우라는 8학년, ''노리 메 탕헤레''는 9학년, 엘 필리부스테리스모는 10학년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the-performing-arts noun – Definition, pictures, pronunciation and usage notes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at 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https://www.oxfordle[...] 2021-01-19
[2] 논문 Trauma, Bodies, and Performance Art: Towards an Embodied Ethics of Seeing 2010-02-00
[3] 웹사이트 dance https://www.britanni[...] 2017-07-14
[4] 웹사이트 Dance https://www.britanni[...] 2015-03-11
[5] 논문 Philosophical Context of Contemporary Choreographic Space http://gesj.internet[...] 2023-01-03
[6] 웹사이트 music https://www.britanni[...] 2017-07-14
[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Postmodernism https://bpb-us-w2.wp[...]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5-28
[8] 웹사이트 African Traditional Theater or Unknown Performances http://quasianonima.[...] 2023-01-25
[9] 웹사이트 The Call And Response In African Culture https://brightstarmu[...] 2023-01-25
[10] 논문 The Ramesseum Dramatic Papyri as Evidence of Drama in Ancient Egypt https://mjthr.journa[...] 2023-01-25
[11] 웹사이트 Griot African troubadour-historia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1-25
[12] 서적 The Miracle Play of Hasan and Husain https://archive.org/[...] W. H. Allen and Co. 1879
[13] 서적 Ta'ziyeh: Ritual and Drama in Iran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1979
[14] 서적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Civilization Brill Publishers
[15] 논문 'Memory of a Phoenix Feather': Iranian Storytelling Traditions and Contemporary Theater 2009
[16] 문서 https://www.ijtsrd.c[...] 2024-08-00
[17] 서적 Theatre Historie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6-29
[18] 웹사이트 the-noh.com : The Words of Zeami : His Dramatic Life https://www.the-noh.[...] 2021-09-19
[19] 서적 Japanese Theatre Tuttle 1974
[20] 웹사이트 Oceanic music and dance https://www.britanni[...] 2021-10-02
[21] 논문 Material Culture and the Magical Power of Dance Objects 2009-11-00
[22] 웹사이트 the-performing-arts noun – Definition, pictures, pronunciation and usage notes {{!}}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at 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https://www.oxfordle[...]
[23] 논문 Trauma, Bodies, and Performance Art: Towards an Embodied Ethics of Seeing 2010-02-00
[24] 논문 dance https://www.britanni[...] 2017-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